지속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 교육 이 강조되고 있으며, 지구 환경에 대한 개인의 책무성 이 중시되고 있다.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2009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는 환경교육의 목적을 환경 친화적인 행동을 책임감 있게 하는 시민의 양성으로 규정하였으며(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정보,지식, 기능, 가치, 태도, 행동 및 참여로 설정하였다(최석진 외, 1999). 그러나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환경교육 관련 학습목표는 가치 및 태도, 행동 및 참여와 같은 정의적 영역의 목표의 비율이 지식 및 정보와 같은 인지적 영역의
목표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박순호, 2005). 또한 학년별 환경교육 목표의 비중을 분석한 결과, 지식 및 정보의 목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비율이 높아지며, 기능 목표는 전 학년에서 큰 차이가 없고, 가치 및 태도 목표는 저학년에서는 비율이 높으나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낮아졌다(배영부·최미자, 2004; 박순호,2005).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과정의 교과별 환경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과학교과에서는 환경 요인을 포함하는 생태계와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이 영역을 학습함으로써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지구 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게 한다. 빛, 온도, 물 등과 같은 환경 요인의 영향을 받아서 생물의 생활에 변화가 생긴 사례와 생물이 환경에 적응한 사례를 통하여 생물과 환경과의 관계를 이해하게 한다. 생태계를 구성하는 요소 사이의 상호 작용, 생태계의 평형 등을 이해하고, 환경오염에 따른 생태계 파괴에 대하여 알아보고, 환경 개발과 보전 사이의 균형과 조화가 필요함을 인식하게 한다.
사회 교과에서의 환경교육목표는 학생들이 주변의 사회적 사실과 현상에 대하여 관심과 흥미를 가지며, 생활과 관련된 기본적 지식과 능력을 습득하고, 창의적인 자세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은 사회적 사실과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사실과 개념을 배우고, 이를 자신의 주변 환경이나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사고력을 지녀야 한다.
또, 이러한 지식과 사고를 사회적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적극적인 태도를 길러야 한다.
도덕 교과에서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등 환경문제에 대한 지구촌의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환경윤리적인 측면에서 환경 친화적인 삶의 가치를 인식하고 환경문제 해결에 필요한 올바른 도덕적 판단 능력과 적극적인 실천 역량을 습득하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실과 교과에서는 자신의 성장과 삶을 이해하는 기본적 조건으로서 가족의 관계와 가정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의식주 및 생활자원의 관리에 필요한 기초 능력을 함양하여 자신과 가족, 자원, 환경과의 바람직한 관계를 정립하고, 일상생활속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건강하고 자립적으로 주도해 나갈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