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분야의 환경 문제관련 환경교육 내용 체계

오늘날의 환경 문제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태도와 가치관에 문제가 있기 때문인데, 환경교육은 교육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의 상호 관련성을 이해시키며 환경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가치관을 갖게 하고 환경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능력을 가진 시민을 기르려는 노력이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일찍부터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갖고 환경교육을 독립된 교과목으로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환경교육은 그 중요성이 학문적으로나 사회
적으로 널리 인식되기 시작한지 10여년이 흘러서야 비로소 학교 교육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남상준(1995)은 우리나라의 환경교육이 교육과정 발달사적측면에서 정착기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환경교육은 목표 및 내용의 방향에서부터 교사양성에 이르기까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황만익, 1999 재인용).

우리나라의 환경교육은 제 4차 교육과정(1981)에서 환경교육을 강조하기 시작하여 제 5차에 이르러 환경교육을 8대 중점 사항 중의 하나로 지정되었으며, 제 6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환경교육이 중학교에서는 ‘환경’, 고등학교에서는 ‘환경과학’이 독립 교과목으로 선정되어 선택과목으로 지정되었다. 한편, 1997년에 고시한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환경교육을 초등학교에서는 각 학교에서 재량 활동의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 재량 활동에 환경보전이나 환경탐구 활동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중학교에서는 ‘환경’이 재량활동 선택과목으로 지정되어 인간과 환경, 환경의 변화, 자원 문제, 생활환경, 지구 환경문제, 환경 보전을 위해 실천해야 할 행동, 쾌적한 환경 만들기 등의 내용 및 실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환경 문제를 주요 주제와 소재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고등학교에서는 환경관련 과목으로 제 6차 교육과정에서의 선택과목인 ‘환경과학’이 없어지고 사회과의 일반선택과목으로 ‘인간 사회와 환경’, 교양 선택과목으로 ‘생태와 환경’이 신설되었다. 또한 국민공통기본과정의 제 10학년 ‘과학’ 교과 중 한 단원이 ‘환경’으로 설정되어 생물농축, 산성비, 온실효과 및 소음 등을 다루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환경교육에 관한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어 교육과정에서도 활발히 적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경교육의 내용 체계가 아직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각 학교 급간의 연계성을 살리지 못하고 중복, 누락되는 내용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현대 사회에서 발생되고 있는 많은 환경문제에 관한 내용들과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방법적인 내용들이 현재의 환경교육에서 충실히 반영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환경교육의 내용 체계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환경학의 내용 체계를 확인하는것이 필요한데, 그 이유는 환경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들을 환경학의 내용들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환경학은 독립적인 학문이기보다는 종합적인 학문이며 현재 환경학 자체의 독자적인 학문으로 발전되기보다는 환경과 다른 학문들이 결합되어 새로운 학문들로 발전되고 있다. 예컨대 환경공학, 환경경영학, 환경윤리학, 환경화학, 환경지질학, 환경생태학, 환경생물학, 환경지리학 등과 같이 환경과 다른 학문들이 결합되어져 새로운 학문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현재의 추세로 보면 앞으로도 환경과 더 많은 학문들과 결합되어 새로운 학문들을 만들며 발전해 나갈 것이다.

지금까지의 환경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남상준(1995)은 자연환경, 인공 환경, 인구, 산업화와 도시화, 자원, 환경 오염, 환경 보전, 환경 정화, 환경의 질 향상으로, 서우석(1999)은 자연환경, 인공환경, 인구, 산업화와 도시화, 자원, 환경오염, 환경보전, 환경위생, 환경윤리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교육의 내용에 관한 이러한 논의들은 환경학의 분과학문들의 내용에 대한 분석과 여러 전문가들의 합의적인 논의를 통해 제시된 것이 아닌 학자들의 자의적인 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제시된 것이며, 또한 현재 새롭게 발생하고 있는 여러 환경을 다루고 있는 학문들의 내용 요소들을 환경교육의 내용으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환경을 다루고 있는 학문들의 주요 내용들을 분석ㆍ정리하여 환경교육의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연구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다음 이전